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join
- DB
- react map error
- jdk
- sudo
- 파일 시스템
- map is not a function
- Dockerfile
- springboot
- jar배포
- brew install mariadb
- 도커파일
- root
- 관리
- jar deploy
- Docker
- install
- docker container
- Oracle
- 도커
- spring framework
- mysql error
- mac mariadb
- 설치
- Access denied for user ''@'localhost'
- sts
- systemd
- springboot jar
- ps
- mysql
- Today
- Total
Yoon.s
[Spring Boot] jar파일로 배포하기 본문
maven 환경에서 tomcat이 내장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jar 파일로 바로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이때 서버는 stop 되어있어야 합니다!! (서버와 jar배포가 동시에 일어나면 안됩니다!)
1. pom.xml 셋팅
<packaging>이 war가 아닌 jar로 지정되어 있어야 합니다. !!
* jar - 내장된 톰캣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배포할 때 사용
war - 내장 톰캣을 사용하지 않고, 별도로 톰캣을 설치해서 웹 서버를 기동할 때 사용
2. Maven Build
프로젝트 우클릭 -> Run As -> Maven Build
console창에 jar가 building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!!
완료하면 target에 .jar 파일들이 생성된 것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이때, 바로 실행되지않고 하나의 창(Edit Configuration and launch)이 생기는 경우에는
Goal -> package라고 적어준 뒤 실행합니다.
2-1. 이전의 동일한 이름의 jar파일이 있는데 그곳에 덧붙이기하고 싶다면,
Maven Clean을 먼저 진행하고 Maven install/ build 를 진행한다.
install | 압축 파일을 로컬 메이븐 디렉터리에 추가한다. 이로 인해 이것에 의존하는 다른 모듈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. |
compile | 소스 코드를 컴파일한다. 컴파일된 클래스들은 카깃 디렉터리 트리 구조에에 저장된다. |
3. 파일 테스트
cmd창에 가서 jar 파일이 있는 target의 위치로 갑니다 !!
-> cd target경로
*target 경로 쉽게 파악하기 ?
target 폴더 우클릭 -> properties -> Location 확인
4. jar 실행
target 위치에서 dir을 입력하여 해당 파일들 중 [jar파일명.jar]을 복사
java -jar [jar파일명.jar] 을 입력하여 jar를 실행해줍니다!!
'백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스프링 시작하기 - Intellij (0) | 2023.04.17 |
---|---|
[SpringBoot] Lombok 소개 및 설치 (0) | 2020.09.21 |
[Spring Boot] 스프링부트 시작하기 (0) | 2020.09.14 |
[Servlet] 서블릿과 JSP 시작하기 (0) | 2020.09.11 |
[MyBatis] 스프링에서 mybatis 사용하기 (0) | 2020.09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