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oon.s

디스크 관리 : LVM, df, du, fsck 본문

인프라/linux

디스크 관리 : LVM, df, du, fsck

yo_onHJ 2020. 7. 15. 15:38

여러 디스크 하나로 사용

LVM : 독립적으로 구성된 디스크 파티션을 하나로 연결하여 한 파티션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함

PV(Physical Volume) : 물리 볼륨 /dev/sdb1, /dev/sdb2 같은 실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의미
VG(volume Group) : 볼륨 그룹 여러 개의 PV를 그룹으로 묶은 것
LV(Logical Volume) : 물리 볼륨 VG를 다시 적절한 크기의 파티션으로 나눌 때 각 파티션
PE(Physical Extent) PV가 가진 일정한 블록
LE(Logical Extent) LV가 가진 일정한 블록

LVM 기본 개념


 

LVM 생성 과정& 관련 명령

  1. 기존 파일 시스템의 종류 변경           fdisk
  2. PV 생성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pvcreate
  3. VG 생성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vgcreate
  4. VG 활성화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vgchange -a y
  5. LV 생성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lvcreate
  6. LV에 파일 시스템 생성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mkfs, mke2fs
  7. LV 마운트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mount

 

디스크 관리

df [옵션] [파일 시스템]

: 파일 시스템별 디스크 사용량 확인 (디스크의 남은 공간에 대한 정보 출력)

예. df,   df -h,    df -hT

옵션
-a : 모든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디스크 사용량 확인
-k : 디스크 사용량을 KB 단위로 출력
-m : 디스크 사용량을 MB 단위로 출력
-h : 디스크 사용량을 알기 쉬운 단위 (GB, MB, KB 등)로 출력
-t 파일 시스템 종류 : 지정한 파일 시스템 종류에 해당하는 디스크 사용량 출력
-T : 파일 시스템 종류도 출력

 

du [옵션] [디렉터리]

: 디스크의 사용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 (디렉터리별 디스크 사용량)

예. du,   du -s -user1

옵션
-s : 특정 디렉터리의 전체 사용량 출력
-h : 디스크 사용량을 알기 쉬운 단위 (GB, MB, KB 등)로 출력

 

fsck [옵션] [장치명]

: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을 점검

옵션
-f : 강제로 점검
-b 슈퍼블록 : 슈퍼블록으로 지정한 백업 슈퍼블록을 사용
-y : 모든 질문에 yes로 대답하게 함
-a : 파일 시스템 검사에서 문제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

추가로,

" lsblk : 디스크가 몇개 연결되어있는지 알수 있는 명령어 "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!! 

Comments